Jun 4, 2021 00:54
2 yrs ago
17 viewers *
English term

doomscrolling

GBK English to Korean Social Sciences Journalism
Definition from Merriam-Webster:
Doomscrolling and doomsurfing are new terms referring to the tendency to continue to surf or scroll through bad news, even though that news is saddening, disheartening, or depressing.
Example sentences:
Reading through their social media feeds, Americans are likely to encounter anguished accounts of political turmoil,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continued fallout from cyberattacks, among other less-than-cheerful topics. And yet many can’t stop scrolling even more, perhaps hoping to distract themselves from thinking too hard about any one of these ongoing problems. The practice has earned a suitably apocalyptic nickname: doomscrolling. (Scientific American)
In a world where we have technology at our fingertips, it can be difficult to turn away from news headlines and social media. Doomscrolling is an obsessive behavior many people can't control. (KStop.com)
In the face of uncertainty, the search for any certainty can lead us to absorb false, sensationalised information that builds our anxiety. The endless void of social media can often lead to us feeling less in control than ever. Isolation, depression, stress, and disrupted sleep – this is the impact doomscrolling has on us. (The Boar)
Change log

May 31, 2021 17:03: changed "Kudoz queue" from "In queue" to "Public"

Jun 4, 2021 00:54: changed "Stage" from "Preparation" to "Submission"

Jun 7, 2021 01:56: changed "Stage" from "Submission" to "Selection"

Jun 14, 2021 01:54:

Jul 4, 2021 01:54:

Aug 3, 2021 01:54:

Proposed translations

2 mins

둠스크롤링

Definition from 시사상식사전:
암울한 뉴스만을 강박적으로 확인하는 행위를 뜻하는 신조어로, 코로나19 시대의 우울한 사회 분위기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증가 등의 세태를 반영하고 있어 2020년 뉴욕타임스(NYT)와 파이낸셜타임스(FT)가 꼽은 올해의 단어에 포함되기도 했다.
Example sentences:
접촉자 추적(Contact tracing), 둠스크롤링(Doomscrolling), 필수 근로자(Essential workers) 등도 선정됐다. 둠스크롤링은 나쁜 뉴스가 많았던 올해 사람들이 세상의 종말(Doom)이 다가온 듯 두려움을 느끼며 뉴스를 휴대폰에서 스크롤링해보았던 경험을 말한다. (news1뉴스)
둠스크롤링(doomscrolling)을 유의하라는 기사도 많이 나온다. 불행(doom)과 화면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스크롤링’(scrolling)을 합친 신조어로, 펜데믹(대유행)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늘면서 암울한 뉴스만을 강박적으로 확인하는 행태를 뜻한다 (서울신문)
Something went wrong...
3 mins

둠스크롤링

Definition from 시사상식사전:
암울한 뉴스만을 강박적으로 확인하는 행위를 뜻하는 신조어로, 코로나19 시대의 우울한 사회 분위기와 스마트폰 사용시간 증가 등의 세태를 반영하고 있어 2020년 뉴욕타임스(NYT)와 파이낸셜타임스(FT)가 꼽은 올해의 단어에 포함되기도 했다.
Example sentences:
‘둠스크롤링’(doomscrolling)을 유의하라는 기사도 많이 나온다. ‘불행’(doom)과 화면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스크롤링’(scrolling)을 합친 신조어로, 펜데믹(대유행)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늘면서 암울한 뉴스만을 강박적으로 확인하는 행태를 뜻한다. (서울신문)
전 세계의 심리학자들은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의 심상치 않은 동향을 발견하고 있다. 둠스크롤링은 최근에 나타난 문제로, 부정적이거나 우울한 뉴스를 읽는 것에 대한 집착을 의미한다. 우리는 자연재해, 병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들, 충격적인 뉴스 속보에 대한 이야기에 이끌린다. (원더풀마인드)
Something went wrong...
4 mins

둠스크롤링

Definition from 시사상식사전:
불행을 뜻하는 '둠(doom)'과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화면을 아래위로 움직이는 '스크롤링(scrolling)'을 합친 신조어로, 암울한 뉴스만을 강박적으로 확인하는 행위를 뜻한다. 이 단어는 특히 코로나19 시대의 우울한 사회 분위기와 재택근무 확대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시간 증가 등의 세태를 반영하고 있어, 2020년 뉴욕타임스(NYT)와 파이낸셜타임스(FT)가 꼽은 올해의 단어에 포함되기도 했다.
Example sentences:
‘둠스크롤링’(doomscrolling)을 유의하라는 기사도 많이 나온다. ‘불행’(doom)과 화면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스크롤링’(scrolling)을 합친 신조어로, 펜데믹(대유행)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늘면서 암울한 뉴스만을 강박적으로 확인하는 행태를 뜻한다. 최근 미국심리학회의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23%가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예전보다 술을 더 많이 마신다고 답했다. 또 지난 2월에 발표된 다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33%가 불안이나 우울증 증상을 겪었다고 응답했고, 12%는 자살을 고민한 적이 있다고 했다. 최근 텍사스·미시시피주가 마스크 의무 착용을 폐지하고,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지 않았으면서 마스크도 없이 해변이나 파티장으로 인파가 몰리자 ‘코비디엇’(covidiot)이 언론에 다시 등장했다. 코로나19(covid)와 멍청이(idiot)의 합성어로 방역지침을 지키지 않는 이들을 가리킨다. 요즘 미국인들의 관심은 코로나19의 출구전략을 의미하는 ‘코벡시트’(Covexit)다. 코로나와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합쳐 만든 용어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집단면역에 도달할 때까지 방역지침을 철저하게 준수하기를 요구하고 있지만, 시민들은 1년간 봉쇄정책으로 지쳐 있는 상태여서 준수율이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마스크네·코비드15·죽은엉덩�)
이는 우리의 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나쁜 소식을 접하면 스트레스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아드레날린·코르티솔 등의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 같은 호르몬 분비가 일어나는 사이클이 반복되다보면, 어느새 소셜미디어에 접속하는 순간 곧바로 스트레스 반응이 일어나는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는 일종의 ‘대리 외상’으로, 트라우마가 있는 생존자처럼 불안감이 증폭되고, 부정적인 뉴스만 계속 소비하는 둠스크롤링(doomscrolling)으로 이어진다. 마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있는 사람처럼 세상을 위험한 곳으로 인지하고 예민해지기도 한다. (소셜미디어, 생각보다 심각한 )
미국 건강정보채널 헬스라인(Healthline)에 소개된 내용에 따르면 사람들은 부정적이고 나쁜 뉴스를 더 읽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를 ‘둠스크롤링(doomscrolling)’이라고 한다. 부정적인 뉴스에 반응하는 방법 중 한가지로, 나쁜 뉴스만을 온라인 기사나 소셜미디어에서 계속 찾아보는 것이다. 둠스크롤링이란 암울한 뉴스만을 강박적으로 확인하는 행위를 뜻하는 신조어이다. 은연 중에 부정적인 뉴스를 더 확인하려는 습성이다. 미국 툴레인대학교의 토냐 핸젤 박사는 이러한 경향이 ‘투쟁-도피’ 반응과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사람은 심하게 스트레스를 받으면 본능적으로 싸울 태세를 갖추거나 위험으로부터 도망치려 한다. 핸젤 박사에 따르면 둠스크롤링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투쟁 메커니즘을 경험하거나 부정적인 상황에 대해 정신적으로 준비하는 안전한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삶을 자신보다 더 부정적인 사람과 비교하는 것이 자기 타당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사실 이러한 두 가지 반응은 모두 ‘완벽하게 자연스러우며’ ‘비현실적으로 낙천적’이 되는 걸 피하도록 도와준다. 문제는 부정적인 뉴스에 너무 빠져서 지나치게 집중하는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수앤빌그로스 간호대학 앨리슨 홀먼 교수는 “나쁜 뉴스에 너무 빠져있는 것이 문제인 이유에 대해 그런 행동이 급성 스트레스 증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홀먼 교수에 따르면 이는 외상 후 스트레스 초기 증상과도 가깝다. 우울증,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같은 정신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해 통증 같이 몸에 나타나는 증상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도 스트레스가 심한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나쁜 뉴스에 대응 하는 방법으로 △자기 전에는 뉴스를 보지 않는다. △부정적인 것에 집중하면 잠들기도 어렵고 잘 자기도 어렵다. △같은 뉴스가 반복되기 시작하면 더 이상 뉴스가 아니다. △선정적인 뉴스는 멀리하라. 스트레스가 높아진다. △모든 뉴스를 다 보지 말고 헤드라인을 읽은 후 어떤 뉴스를 읽을 것인지 정한다 등을 제안했다. (코로나 시대, ‘암울하고 나쁜)
Something went wrong...
Term search
  • All of ProZ.com
  • Term search
  • Jobs
  • Forums
  • Multiple search